미국 연준 (연방준비제도, 미국의 중앙은행제도)에서 최근에 테이퍼링을 언급하였는데,
어떤 내용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현재 상황
코로나로 침체된 경기 부양을 위해, 각국에서 돈을 막 푸는 양적완화의 상황입니다.
아시다시피 중앙은행들은 금리를 낮추고, 각국의 정부들은 국민들에게 재정 지출(지원비지급)을 하고 있죠.
돈을 많이 만들게 되면, 당연히 그 돈의 가치는 떨어지겠죠.
많이 풀린 돈으로 소비가 증진되어 경제를 되살아나게 만드는 방법인데,
주의해야 할점은 그에 따른 원자재 가격이 너무 올라서 물가가 상승하는 '인플레이션'이 발생 가능합니다.
그럼 또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시중에 풀린 돈을 줄여야 겠지요. (금리를 올리고, 소비심리 하락)
아무래도 현재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테이퍼링에 대한 언급들이 나오는 것으로 보입니다.
2. 테이퍼링이란?(출구전략의 일종)
테이퍼링은 급격한 긴축정책 전에 양적완화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입니다.
* 출구 전략은 각종 완화 정책을 경제에 부작용을 남기지 않게 서서히 거두어 들이는 전략
정부가 돈을 쓰기 위해서는 국채를 발행해야 하는데
국가가 발행한 국채를 연준에서 매입하지 않는 것입니다.
수요가 적으면 국채 가격이 하락하며, 국채금리는 상승하게 됩니다. (금리와 국채는 반대로 움직임)
3. 향후 전망은?
아무래도, 미연준이 자산매입 축소를 하게 되면 금리인상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대출이 많은 상황에서 금리인상이 시행되면 아무래도 경제에 위험신호로 다가 올 것입니다.
다만 연준에서도 23년까지 금리 인상은 없을 것이라고 이야기 했고, 연내 테이퍼링은 없을 것이라고했지만
아무래도 언급되었다는 상황 자체가 증시나 경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입니다.
'슬기로운 경제생활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하는법 (기간, 소득공제/세액공제, 간소화서비스, 환급금조회) (0) | 2021.01.21 |
---|---|
마이너스 통장 발급대상, 사용법, 이자 계산 알아보기 (0) | 2021.01.18 |
저축은행 예금 금리 비교 (저축은행, 파킹통장이란) (0) | 2021.01.16 |
주택연금 제도 알아보기 (수령액, 계산방법, 장점, 단점) (0) | 2021.01.14 |
ISA계좌 알아보기(장단점, 납입한도, 대상자) (0) | 2021.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