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슬기로운 경제생활/기타

주택연금 제도 알아보기 (수령액, 계산방법, 장점, 단점)

by 프롬하하 2021. 1. 14.
728x90

 

1. 주택연금제도란

: 말 그대로, 집을 담보로 매달 국가로부터 일정 금액을 연금형식으로 받는 제도

  현금화가 어려운 부동산 자산을 담보로 일정금액 현금을 수령하는 것입니다.

 

2. 가입 요건

1) 부부 중 1명이 55세 이상

2) 부부 중 1명이 대한민국 국민

3) 부부 기준 공시가격 등이 9억원 이하 주택 소유자

4) 다주택자의 경우 모든 주택 합산 가격이 9억원 이하

5) 9억원 초과 2주택자는 3년 이내 1주택 판매 시 가능

 

3. 얼마나 받을까? 월 수령액 계산방법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에 예상 연금 조회 메뉴에서 확인 가능

https://www.hf.go.kr/hf/sub03/sub02.do 

 

주택금융공사 | 주택연금 | 예상연금조회

예상연금조회 Facebook Twiter kakao Talk Band ※ 이 조회 결과는 기준 예상금액이며, 실제 월지급금 및 인출한도 금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주택가격은 ‘한국부동산원 인터넷시세’, ‘KB국민은

www.hf.go.kr

*주택 가격이 비쌀 수록, 늦게 가입할 수록 많은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지급 방식은?

1) 종신 방식 : 월 지급금을 종신토록 지급받는 방식으로 가장 일반적이며 같은 금액을 사망시까지 받는다.

2) 확정기간 방식 : 일정기간 선택하여 그 기간동안 받는다.

3) 우대 방식 : 일반 종신방식보다 월 수령액이 22% 높으나, 주택 소유자 또는 배우자가 기초생활수급자, 부부기준 1.5억원 미만 1주택 보유시만 가능하다.

 

5.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주택연금 신청은 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하고, 1688-8114 전화로도 상담이 가능합니다.

 

6. 장/단점

1) 장점

 - 평생 주거권이 보장된다.

 - 국가가 보증하는 연금제도이므로 중단될 걱정이 없다.

 - 사망 후 집값이 연금 총액보다 클 경우, 나머지 차액은 자녀에게 상속 가능하다. 

 -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2) 단점

 - 주택가격이 상승하더라도 가입시 기준으로 평생 지급받기 때문에, 물가 상승이 배제되어있다.

 - 실거주 조건이 있기 때문에 주택 이동이 어려울 수 있다.

 - 중도 해지시 손해가 크다.(연금액과 이자를 반환해야 한다.)

 

검색해보니 최근에 중도 해지율이 30% 가까이 된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현재 집값 상승률이 반영되지 않은 점 때문이라는 말들이 있네요!

 

또, 2021년 2월 1일 부터 주택연금 월지급금이 변경된다고 합니다.

연령대별로 변동사항이 다른데, 일반주택/정액형 가입자는 가입연령 만 69세를 기준으로 저연령자는 월 수령액이 다소 증가하고

고연령자는 월 수령액이 소폭 감소한다고 합니다. (기존에 가입자는 원래 받던 금액으로 수령)

 

가입을 염두에 두고 계신분들은 1월중에 상담을 서두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