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슬기로운 경제생활69 기관투자자, 연기금 주식 비중 알아보기 기관투자자 : 증권시장에서 대규모 자금을 굴리는 기관들입니다. 종류가 다양한데, 금융투자/은행/연기금/사모펀드/보험 등으로 구분합니다. - 금융투자 : 증권사, 회사 자금을 이용해 트레이딩 하여 돈을 본다고 보면 됨 (주로 단타) - 투신 : 자산운용사로 펀드 운용하는 곳. 개인들이 투자한 펀드를 굴려 주는 곳이라고 보면 됨 - 연기금 : 국민연금과 같이 우리의 돈을 가지고 운용하는 곳. 규모도 크고 책임감을 가지고 관리해야 되는 곳 - 사모펀드 : 소수의 개인투자자들이 돈을 모아서 운용 ( 최대 49명 이하만 가능!) 국내 코스피가 3000선 이후에 박스권에 갇혀 있는데, 대부분 사람들이 연기금이 지속 매도하기 때문이라는 사유를 듭니다. 연기금은 아무래도 안정적으로 운영해야 하니 국내주식, 해외주식, .. 2021. 3. 30. 컨센서스, 어닝쇼크, 어닝서프라이즈란? 기업들은 매분기 실적 발표를 합니다. 1분기 : 분기보고서 ( 4.1~5.15일 제출) 2분기 : 반기보고서 (7.1~8.15일 제출) 3분기 : 분기보고서 (10.1 ~ 11.15일 제출) 4분기 : 사업보고서 (1.1~3.31일 제출) + 감사보고서 (정기주주총회 1주일 전까지 제출) 이 시즌기간에 컨센서스란 용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컨센서스란 시장의 예상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각 애널리스트들이 A기업의 1분기 실적을 예측할 경우 가장 높은 수치와 낮은 수치를 제외하고 평균을 냅니다. 시장에서 예상하는 이 영업이익보다 실적이 잘 나왔을 경우 우리는 "어닝서프라이즈"라고 합니다. 약 10% 이상 정도 상회할 경우 어닝서프라이즈라고 보는 것 같습니다. (수치가 정해지지는 않은듯 합니다.) 실제.. 2021. 3. 29. 삼성전자 배당금 알아보기 (배당조회 사이트) 은행 예적금 이자가 1%대인 요즘, 배당은 꽤 매력적인 투자 방법입니다. 배당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2021년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의 배당금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주식을 가지고 있는 주주들에게 보유한 지분에 따라서, 기업이 이익의 일부를 지급하는 것 예를 들어, 3억의 자금 중 1억 투자 (지분 33%) --> 33%만큼 배당으로 받을 수 있음 - 배당성향 : 기업의 연간 순이익에서 배당으로 주는 비율 배당 성향이 30%이면, 100억의 이익을 내는 기업이 30억을 배당으로 지급 30억을 주식수로 나누면 주당 배당금 산출 가능 예를 들어, 주식수가 300만주이면 30억 / 300만주 = 주당 1,000원 배당 - 배당수익률 a기업 주가가 6만원이고 연간 배당금이 1,500원이라고 가정 1,500원을 6만.. 2021. 3. 25. 기업의 자금 조달 방법 : 3자배정 유상증자,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 사채, 교환사채 (+무상증자) 기업의 다양한 자금조달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립니다. 요즘 주린이가 알고 싶은 최다질문 top 77이라는 책을 읽고 있는데 주식 관련 내용이 알기 쉽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한번쯤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아래 내용도 일부 책에서 발췌했습니다. 1.3자배정 유상증자 - 주주가 아닌 특수관계인이나 다른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방식, 대기업이 중소기업 지분 투자 시 많이 사용 - 1년간 보호예수 (팔 수 없음) 되기 때문에 유통주식수가 증가 하지 않아 긍정적 - 발행대상이 누구인지 확인 : 사모펀드,대기업,외국계 기업 등 👉👉대기업의 투자는 상징성, 자금조달, 유통주식수 증가 제한 등으로 주가에 긍정적 2.전환사채 - 채권인데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 부여 - 금리가 낮지만 일정기간 후에 주식으로 전환.. 2021. 3. 23. 이전 1 ··· 5 6 7 8 9 10 11 ··· 1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