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여러분,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이 다르다는 것 아셨나요?
정부가 식품 용기에 표기된 기존 유통기한을 소비기한으로 바꾸는 방안을 현재 추진중인데요,
관련 업계는 재고 처리가 쉬워질 뿐 아니라 음식물 폐기 감축 등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다만, 소비자들은 자칫 제품의 신선도가 떨어질 것 같다는 우려도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소비기한은 유통기한보다 깁니다.
유통기한은 말그대로 판매점에서 유통될 수 있는 기한이며
소비기한은 식품을 섭취해도 건강이나 안전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인정되는 정도의 기한을 의미합니다.
기준은?
유통기한은 식품을 섭취해도 안전한 기간의 6~70% 선에서, 소비기한은 8~90% 선에서 결정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보통 섭취하는 식품의 소비기한은 언제쯤일까요?
식품 | 유통기한 | 소비기한 |
우유 | 10일 | +50일 |
달걀 | 20일 | +25일 |
봉지라면 | 6개월 | +8개월 |
두부 | 14일 | +90일 |
요거트 | 14일 | +10일 |
식빵 | 3일 | +20일 |
액상커피 | 11주 | +30일 |
슬라이스치즈 | 6개월 | +70일 |
냉동만두 | 9개월 | +25일 |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한국 소비자원이 유통기한이 짧은 식재료 및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소비기한에 대해 조사한 평균값
★★위 기준은 식품의 보관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단순 참고용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728x90
'슬기로운 정보안내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보약 열무! 효능부터 초간단 열무김치&국수&비빔밥 레시피까지 (0) | 2025.06.24 |
---|---|
몸을 따뜻하게! 임신 준비 대추차, 이런 점이 좋아요 (2) | 2025.06.23 |
에프킬라 없을 때? '발을씻자'로 바퀴벌레와의 전쟁에서 승리하는 법! (5) | 2025.06.21 |
댓글